인도 문화의 근간 힌두교
힌두교는 인더스문명의 자연신 숭배부터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 세 신을 모시는 브라만교가 인도 토착의 민간신앙과 융합하여 종교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었기 때문에 힌두교는 다양한 신화·전설·의례·관습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을 통일하여 종교로써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카스트제도입니다.
카스트제도는 브라만교에서 규정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로 구분되는 신분제도로 인도인의 생활,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힌두교의 성지 갠지스강
인도 사람들은 갠지스강을 시바 신이 하늘의 물을 받아 땅으로 흘려보내는 성스러운 강이라고 생각합니다. 갠지스강에서 목욕을 하며 죄를 씻기도 하고,
디야*를 띄우면서 힌두교 신에게 소원을 빌기도 합니다. 죽은 뒤에는 화장해서 재를 뿌려 신의 도움으로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믿습니다. 삶과 죽음이 모두 함께하는 신성한 곳입니다.
*우유 기름(기히)을 작은 등잔에 담은 등잔불
-
- 아침풍경
-
- 요가하는 사람들
-
- 기도하는 사람들
-
- 디야를 띄우는 사람들
-
- 아르띠 푸자
-
- 화장터
힌두교의 신
힌두교의 신들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여러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이름, 다른 모습의 신을 섬깁니다.
-
- 트리무르티(삼위일체신)
-
- 트리데비(힌두교의 세 여신)
힌두교의 신화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는 인도의 2대 서사시입니다. <라마야나>의 주인공인 라마는 비슈누의 일곱 번째 화신으로 이상적인 남성이자 완성된 인간의 상징입니다.
시타 역시 비슈누의 배우자인 락슈미의 화신으로서 행운, 풍요, 번영, 성공, 행복을 가져다주는 여신의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이러한 좋은 기운을 가진 시타는 이상적인 아내의 상징으로 묘사됩니다. <마하바라타>는 바라타족의 영토에 얽힌 친족간의 싸움을 주제로 하는 이야기에
인도의 신화를 함께 엮어 넣었으며 이야기의 전개를 통해 힌두교의 기본 교의인 다르마(종교 규율)와 카르마(업), 아트만(영혼), 모크샤(해탈)등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카스트 제도
카스트는 인도 사회에서 주로 힌두교를 믿는 사람들의 신분제도로써 신분이 가장 높은 브라만에서 시작해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순으로 신분이 낮아집니다.
각각의 카스트는 다시 더 작은 카스트 집단들로 세분화되기 때문에, 사실 인도의 카스트는 위에 말한 네 종류의 카스트보다 훨씬 그 종류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카스트에 따라 하는 일이 구분되어 있었으며, 동일한 카스트끼리 식사와 결혼을 하고 자신보다 낮은 신분의 카스트와 함께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매우 강했습니다.
특히 천민 카스트는 다른 사람들의 청소를 하고 죽은 가축을 치우는 일을 하는데, 신분이 가장 낮은 카스트로서 오랜 세월 동안 인도에서 심한 차별을 받아 왔습니다.
다양한 종교의 나라 인도
인도는 종교의 영향이 생활 속 깊이 스며들어 있습니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의 발상지이기도 합니다.
총인구의 79.8%가 힌두교를 믿지만, 다양한 종교의 자유가 있는 나라입니다. 힌두교가 너무 제사와 카스트에 얽매인 것에 반발하여 생긴 종교가 불교와 자이나교입니다.
불교
인도 북부에 있던 작은 왕국의 왕자인 고타마 싯다르타로부터 생겨난 종교입니다. 그는 오랜 수행 끝에 깨달음을 얻고 ‘깨달은 사람’이란 뜻의 부처가 되었습니다.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 왕은 불교를 인도 곳곳으로 퍼뜨렸습니다.
자이나교
마하비라가 만든 종교입니다. 불교와 비슷하게 수행을 통한 깨달음을 중요하게 여기고 세상의 모든 생명을 귀하게 여겨 생명을 해치는 것을 엄격히 금하고 있습니다.
자이나교 승려는 옷을 걸치면 욕심이 생긴다 하여 흰옷을 입거나 알몸으로 다닙니다.
이슬람교
서아시아에서 만들어진 유일신 알라를 믿는 종교입니다. 1200년 무렵부터 인도에서 번성했고, 1500년 무렵에는 이슬람 세력이 무굴 제국을 세워 인도 북부를 다스렸습니다.
이후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
- 자마 마스지드
-
- 이슬람교 전통 의상을 입은 아이들
시크교
시크교는 힌두교와 이슬람교를 융합하여 만든 종교로 창시자는 ‘구루 나낙’이고, 경전은 ‘구루 그란트 사힙’입니다. 스승이라는 뜻의 ‘구르’라고 불리는 종교 지도자의 가르침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남성 시크교도들은 모두 ‘싱(Singh)’이라는 동일한 성을 사용하고 수염과 머리를 기르며 터번을 두릅니다.
-
- 하리만디르 사힙(황금사원)
-
- 터번을 쓰고 있는 아빠와 파트카를 쓰고 있는 아이